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8

다양한 방법으로 공중에서 살아가는 착생식물(epiphtyte) 식물이 살아가는 방법에 따른 분류 지생식물과 착생식물 식물의 분류 방법은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식물이 살아가는 방법에 따라 보통 지생식물과 착생식물로 분류를 하게 됩니다. 지생식물 : 일반적으로 흙에서 자라는 식물을 의미합니다. 땅속으로 깊게 뿌리를 내리면서 살아가는 식물을 말합니다. 이런 식물들은 뿌리의 역할이 아주 중요한 식물들입니다. 땅속에 뿌리를 내려서 식물이 흔들림이 없도록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뿌리를 통해서 양분과 수분을 흡수하고, 식물 몸 전체로 이동시킵니다.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 중에서 화분에서 키우는 식물들 대부분이 지생식물입니다. 착생식물 : 나무의 표면, 바위 등 어떤 것 표면에 붙어서 살아가는 식물을 의미합니다. 이런 착생식물들은 어떤 표면에 쉽게 정착이 될 수 있도록 기근과 .. 2020. 8. 27.
잎과 꽃 모두 관상가치가 높은 안스리움 키우는 방법 안스리움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 Anthurium andreanum 2) 과명 : 천남성과(Araceae) 3) 원산지 : 콜롬비아 4) 영명 :Anthurium, Flamingo lily 5) 유통명 : 안스리움 6) 적정온도 : 20~29도 안스리움은 워낙 독특한 잎과 꽃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이 식물을 보는 분들이 "진짜 식물입니까?" 라는 질문을 많이 하게 되는 식물입니다. " 꼭 가짜 같은데 진짜 살아있는 식물" 인가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싶어하는 질문입니다. 천으로 만든 조화 같은데 살아있는 것 같기도 하고 아닌 것 같기도 하고, 그만큼 특이하게 생긴 식물입니다. 대부분의 관엽식물들은 관상가치가 잎에만 집중되어 있어서 꽃을 보기가 어렵거나, 꽃이 핀다고 해도 관상가치가 낮아서 대부분의 분.. 2020. 8. 27.
빛이 부족한 식물의 잎이 누렇게 되면서 길게 웃자라는 이유는 식물이 웃자라는 이유 식물이 웃자라는 말을 다른 말로 "도장한다" 라고 합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식물의 모든 활동에는 빛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그 빛이 부족하게 되면 식물은 원활하게 활동을 할 수 없게 되기때문에 건강하게 자라지를 못하는 겁니다. 건강하게 자라지 못하는 상태를 우리는 "웃자란다", " 도장한다" 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가늘고 길게 콩나물처럼 자란 모양입니다. 웃자란 식물은 정상적인 생육상태가 아니기때문에 그 상태가 오랫동안 유지하게 되면 죽게 되는 것입니다.웃자란 상태는 결국은 식물조직인 연해졌다라는 것이고, 건강하지 못한 상태에서 자라기만 했다라는 겁니다. 식물이든 사람이든 외부에서 안좋은 것이 들어왔을 때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한 상태에서는 .. 2020. 8. 26.
친근하고 정감있는 벤자민 고무나무 벤자민 고무나무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Ficus benjamina 2) 과명 :뽕나무과(Moraccac) 3) 영명 :Weeping Fig 4) 유통명 : 벤자민 고무나무 5) 원산지 : 인도, 말레이시아, 열대아프리카 6) 적정온도 :21 ~ 25도 벤자민 고무나무는 고무나무 중에서 아마도 제일 친숙한 고무나무일겁니다. 집에 조금 큰 나무 하나를 두고 싶은데, 초보자가 키우기 쉬운 식물로 벤자민을 많이 추천을 했었기때문에 우리에게는 정감있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벤자민고무나무종류가 약 5종 정도가 일반적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영명이 "Weeping Fig (우는 뽕나무)" 입니다. 형태가 줄기가 축늘어져 있는 모양이 우는 모습을 연상케 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실내에서.. 2020. 8. 25.
재택근무자에게 식물이 꼭 옆에 있어야 하는 이유 생활공간과 사무공간이 하나가 되어가는 재택근무자 재택근무 라는 단어가 옛날에는 참 생소한 단어였습니다. 집에서는 그냥 잠 자고 밥 먹는 공간이고, 사무공간은 일을 하는 공간 이렇게 철저하게 분리가 되었던 시대였는데 어느순간부터 생활공간과 사무공간이 하나가 되어가는 시대가 왔습니다. 한 공간에서 모든 것을 한다라는 점에서 장단점은 있지만, 지금은 단점보다는 장점을 더 찾아나가고 있습니다. 처음에 6일제 근무에서 5일제 근무제로 바뀔때에도 여러가지 문제점을 많이 거론을 했지만 지금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5일제 근무에 만족을 하면서 살고 있습니다. 요즘은 옛날에 과연 "6일제" 근무를 어떻게 하면서 살았을까 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5일제 근무에 만족을 하고 익숙해져있는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화상으로 회.. 2020. 8. 24.
상큼한 푸른 잎을 가진 공중걸이 관엽식물 스킨답서스 키우는 방법 스킨답서스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Epipremnum aureum 2) 과명 : 천남성과 (Araceae) 3) 원산지 : 태평양, 솔로몬군도 4) 영명 : pothos, devil's ivy, golden pothos, pothos vine 5) 유통명 : 스킨답서스 6) 최적온도 : 21 ~ 25도 어떤 식물이든지 처음 그 식물을 접하게 되면 제일 궁금한 것이 바로 식물이름입니다. 그러다보니 식물이름을 잘 모르게 되면 그 식물의 형태를 설명하면서 그 이름을 찾으려고 합니다. 그만큼 식물이름은 중요한 것입니다. 유통명은 당연히 알아야 하는 이름이고, 요즘은 반드시 학명까지 모두 알아두어야 합니다. 새로운 품종들이 계속 만들어지면서 세계적으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식물들이 많아지면서 각자 자국에서 .. 2020. 8. 23.
식물도 사람처럼 스트레스를 받을까요? 모든 병의 시작은 스트레스에서부터 시작된다. 식물을 키우다보면 사람과 똑같다라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음악을 들으면서 자란 식물과 조용한 곳에서 자란 식물 생장상태를 비교해 보는 실험까지 진행을 했겠지요. 네, 예상하고 계신 것처럼 음악을 들으면서 자란 식물이 아주 훨씬 건강하게 잘 자랐다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와 유사한 실험들이 많이 진행이 되었고, 그 결과 식물을 사람처럼 대하면 더 잘 자란다라는 종합결과를 만들어내게 되었지요. 사람도 모든 병의 시작은 정신적 스트레스에서 시작한다고 합니다. 사실 결과를 떠나서 스트레스가 없으면 모든 생활이 건강하게 이루어지는데, 조금만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모든 일들이 정상적으로 진행해 나가지를 못합니다. 그만큼 스트레스는 만병의 근원이 되는 .. 2020. 8. 22.
화려한 모양와 색을 가진 패션러블한 관엽식물 크로톤 키우는 방법 크로톤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Codiaeum variegatum 2) 과명 : 대극과 (Euphorbiaceae) 3) 원산지 : 필리핀, 말레이시아, 동인도 4) 영명 : Croton 5) 유통명 : 크로톤 6) 적정온도 : 18~32도 (최적온도 25도) 크로톤은 태평양 섬 지역에서 즐겨 가꾸는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식물은 대략적으로 1960년 이전부터 독일 자연주의자 럼피우스가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게 된 식물입니다. 이 학자가 말레이시아에 불리던 이름인 코데보(codebo) 라는 이름에서 코디에움(Codiaeum) 이라는 속명을 만들어내게 된 것입니다. 이 속명을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1762년 린넨이 고대그리스 도시인 크로톤(Croton) 의 이름을 따서 크로톤이.. 2020. 8. 22.
강렬한 존재감을 가진 관엽식물의 귀족 알로카시아 키우는 방법 알로카시아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Alocasia amazonica 2) 과명 : 천남성과 3) 원산지 : 동남아시아 4) 생육적온 : 21 ~ 25도 5) 영명 : Elephant's ear, Alocasia polly, African mask plant 6) 유통명 : 알로카시아, 거북알로카시아 , 알로카시아 아마조니카 우리나라 국명은 없고, 학명을 그대로 부르고 있습니다. 워낙 형태가 독특하게 생겨서 이름도 참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거북알로카시아 라는 이름으로 현재 많이 부르고 있는데, 거북이 등처럼 생긴 잎이라고 해서 그렇게 이름이 만들어진 겁니다. 지금은 알로카시아 여러종류가 많이 소개가 되어서 각각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지만 옛날에는 종류가 거의 없어서 사실 이 품종이 대표적으로 ".. 2020. 8. 21.
공중에서 실내습도 관리하는 앙증맞은 식물 트리안 풍성하게 키우는 방법 트리안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Muehlenbeckia complexa 2) 과명 : 마디풀과 3) 영명 : Wire vine, Mattress vine 4) 유통명 : 트리안, 뮬렌베키아 5) 원산지 : 뉴질랜드, 호주 6) 생육적온 : 15 ~ 20도 트리안은 원산지인 뉴질랜드나 호주에서는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식물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화분에 심어져 있는 것을 보게 되는 식물입니다. 줄기가 철사처럼 보인다고해서 철사줄기와 같은 영명들이 있고, 또는 머리카락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도 있습니다. 보기와는 다르게 이 식물을 보는 관점들이 다양해서 여러가지 이름을 가진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트리안"으로 주로 유통되고 있지만, 요즘은 학명 Muehlenbeck.. 2020. 8. 20.
독특하고 세련된 외형을 가진 상록 침엽수 아라우카리아 실내에서 키우는 법 아라우카리아 학명 및 기본내용 1) 학명 : Araucaria heterophylla 2) 과명 : 아라우카리아과 (Araucariaceae) 3) 영명 : Norfolik Island Pine(노폴크 섬 소나무), Triangle Tree(삼각형 소나무), Living Christmas Tree (살아있는 크리스마스 나무) 4) 유통명 : 아라우카리아, 호주삼나무 5) 원산지 :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6) 생육적온 : 20~25도 학명을 먼저 보면 "Araucaria"는 이 식물종의 주요 서식지인 아라우코주(Arauco) 의 지명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뒤에 있는 "Heterophylla" 는 "Hetero(다른) " 과 Phylla(잎의) 이 합쳐진 이름입니다. "다른 잎" 이라는 의미를 가진 단.. 2020. 8. 19.
집안에 행복과 깨달음과 재물을 가져다주는 관엽식물 파키라 키우는법 파키라 학명 및 기본내용 1)학명 : Pachira aquatica 2)과명 : 아욱과(Malvacea) 3)영명 : Money Tree(돈나무) 4)유통명 :파키라 5)원산지 : 멕시코, 남아메리카 등 열매지역 6)생육적온 : 25~30도 이 식물을 어떻게 키워야 하는지 잘 모르는 상태라 하더라도 식물에 대한 기본내용만 잘 알고 있으면 키우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식물구입하실 때 가장 간단한 내용은 꼭 물어보시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파키라 라는 이름은 일반 상품명입니다. 많은 분들이 모르고 계시겠지만 파키라 라는 이름 역시 국제식물용어인 학명입니다. 그 이름을 우리나라 말로 부르고 있을뿐입니다. 학명을 모두 알게 되면 이 이름 안에 이 식물이 물을 좋아한다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aquat.. 2020.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