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18

덩이뿌리로 변신하여 강인함과 연약함을 모두 가진 러브체인 식물학적 특징 러브체인의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 Ceropegia woodii2) 과명 :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3) 영명 : sweetheart vine, chain of heart, rosary vine, string of heart, collar of hearts4) 유통명 : 러브체인5) 원산지 : 짐바브웨, 나타루 등 열대지역6) 적정온도 : 18~22도 러브체인은 1881년 "John Medley Wood" 에 의해서 처음 발견이 되었습니다. 처음 발견한 사람의 이름을 사용해서 학명을 만들었습니다. 모든 식물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식물학명을 보면 그 학명에 이 식물의 가장 중요한 역사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발견된 러브체인은 "Kew"에.. 2020. 9. 5.
현재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색상의 잎을 가진 디펜바키아 종류 디펜바키아의 식물학적인 특징 및 팬매되고 있는 품종 1) 학명 : Dieffenbachia2) 과명 : 천남성과 (Araceae)3) 영명 : Dumb plant4) 원산지 : 중앙 및 남부아메리아5) 적정온도 : 16~27도 분화식물로 판매되고 있는 디펜바키아 종류 1) Dieffenbachia cv. Compacta 디펜바키아 콤팩타2) Dieffenbachia maculata 'Marianne' 디펜바키아 마리안느3) Dieffenbachia maculata 'Exotica' 디펜바키아 엑소티카4) Dieffenbachia amoena 'Tropic snow' 디펜바키아 트로픽스노우5) Dieffenbachia cv. wilson's delight 디펜바키아 윌슨6) Dieffenbachia 'Gr.. 2020. 9. 4.
죽어가던 뱅갈고무나무에 새순이 다시 올라옵니다. 새순이 다시 올라오는 뱅갈고무나무 식물은 절대 그렇게 쉽게 죽지 않습니다. 식물을 키우다보면 아무리 식물을 많이 키워본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항상 변수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이 뱅갈고무나무는 사실 처음부터 상태가 좋지 않았습니다. 아주 작고, 잎에서도 이미 반점이 생기고 있었고, 줄기는 부러진 상태였고, 잎은 아래로 축 쳐져 있고이렇게 그냥 두다가는 곧 죽을 것 같은 상태였습니다. 식물이 병에 걸리는 가장 큰 원인은 물과 햇빛때문입니다. 그리고 식물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방법 역시 물과 햇빛입니다. 아주 힘없이 병들어가던 뱅갈고무나무에게 제일 먼저 한 것은 식물보다 큰 토분에 옮겨심어주었습니다. 뿌리 잘 내리라고 큰 공간을 먼저 주었고, 당연히 새로운 흙에 심어주었지요그 다음으로 물을 충분히 주었습니다.. 2020. 9. 3.
다양한 잎색을 가진 드라세나 맛상게아나 식물학적 특징 드라세나 맛상게아나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 Dracaena fragrans cv. Massangeana2) 과명 : 용설란과 (Agavaeae)3) 영명 : corn plant4) 유통명 : 행운목, 드라세나, 줄무늬 드라세나, 맛상게아나5) 원산지 : 에티오피아, 기니, 나이지리아6) 적정온도 : 16~25도 식물학명에서 "Dracaena" 는 그리스어의 암컷 용을 가르키는 " drakaina" 에서 유래하였고, "fragrans" 는 "향기로운 "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 핀 것을 잘 볼 수는 없지만, 꽃이 피면 꽃에서 아주 달콤하고 향기로운 향이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그리고 보통 밤에 핀다고 해서 "야화"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꽃 피는 것을 .. 2020. 9. 3.
보라색빛의 초콜렛향을 가진 듀란타(발렌타인 자스민) 듀란타의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 Duranta erecta (Duranta repens)2) 과명 : 마편초과 (Verbenaceae)3) 영명 : Golden dewdrop, Pigeon berry, Skyflower, Brazilian skyflower4) 유통명 : 듀란타, 발렌타인자스민5) 원산지 : 브라질, 중-남미 열대지역6) 재배온도 : 22~28도 듀란타가 원래 이름인데 우리나라에서는 "발렌타인자스민" 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꽃의 색이 보라색이고, 초콜렛 향이 난다고 해서 초코렛을 주고 받는" 발렌타인데이" 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을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아마도 전세계적으로 우리나라에서만 사용이 되고 있을 겁니다. 처음에 학명은 "Duranta repens" 였는데, 재 .. 2020. 9. 2.
식물은 왜 꼭 잎에서 병이 많이 생길까? 잎의 구조와 하는 일 식물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모두 잎이 담당하고 있기때문에 잎에서 가장 많은 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물론 식물의 상태가 나뻐지게 되면, 뿌리, 줄기, 꽃 등 여러부분에서 병이 생길 수 있지만 생명을 유지하는데 있어서 가장 근본적인 역할을 하는 부분이 잎이다보니 그 증상이 가장 먼저 표출되는 것입니다. 식물의 상태가 나뻐지려고 하는 신호역할도 잎이 하게 되고, 아주 상태가 심각하다라고 표현하는 것도 역시 잎이 해 주게 됩니다. "건조한 상태이다", " 과습한 상태이다",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이다" 등등 각각의 문제점을 잎으로 표현을 해 줍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 증상을 보고 식물의 상태를 진단하게 되고, 그 진단에 따라 치료하게 됩니다. 식물의 잎은 크게 세개의 조직으로 .. 2020. 9. 1.
난처럼 생겨서 다육식물처럼 키우는 덕구리난 식물학적 특징 덕구리난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 Beaucarnea recurvata (Nolina tuberculata)2) 과명 : 백합과 (Liliaceae)3) 영명 : Elephants Foot, Ponytail Palm4) 유통명 : (추천명: 덕구리난), 독구리난, 도꾸리난, 술변난, 놀리나, 코끼리발식물5) 원산지 : 멕시코6) 적정온도 : 25~30도 식물을 보면 참 위대한 존재 같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살아가기 위해서 자기만의 생존방법을 만들어서 살아간다라는 것이요. 덕구리난은 말 그대로 "난"도 아니고, "다육식물" 도 아닙니다. 그런데 난처럼 생겼다고 해서 뒤에 "난" 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것입니다. 게다가 모양은 꼭 다육식물처럼 생겼구요. 덕구리난은 사막같은 환경조건에서 자란 식물입니다. 그.. 2020. 9. 1.
벨벳 느낌을 가진 짙은 자주빛의 기누라 키우는 방법 기누라 (Gynura) 식물학적인 특징 1) 학명 : Gynura aurantica2) 과명 : 국화과(Compositae)3) 영명 : Purple Passion Vine, Purple Velvet Plant4) 유통명 : 기누라5) 원산지 : 열대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마다가스카르 등6) 최적온도 : 17~25도 "Gynura" 는 그리스어로 "gyne(암술머리)" 와 "oura(꼬리)" 합성어로 거칠고 긴 암술머리를 가진 꽃에서 유래된 이름입니다. 기누라는 관엽식물보다는 일부품종이 약용식물로 더 먼저 알려진 식물입니다. 기누라 일부품종은 식용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허브식물입니다. 기누라는 줄기와 잎에 털이 나 있어서 뽀송뽀송한 느낌을 갖게 하다보니 벨벳느낌을 가진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2020. 8. 31.
고온다습한 여름에 실내습도를 조절해 주는 관음죽 식물학적 특징 관음죽 식물학적 특징 1) 학명 :Rhapis excelsa 2) 과명 : 야자과 (Arecaeae)3) 영명 : lady palm, fan palms, bamboo palm4) 유통명 : 관음죽5) 원산지 : 한국, 일본, 중국6) 적정온도 :16~20도 관음죽의 학명의 의미를 보면 "바늘" 과 "키가 큰" 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잎은 바늘처럼 생겼고, 아주 크게 자라는 식물이라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야자과에 속하는 식물들을 보면 잎만 봐도 그 식물의 정확한 이름은 모르더라도 야자과에 속하는 식물이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사실 식물을 공부하면서 과명까지 공부를 해 두면 좋은 이유가 세상 모든 식물을 다 알 수는 없지만 유사한 식물들과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때문에 야.. 2020. 8. 31.
식물을 중심으로 조형물과 자연스럽게 디자인된 전국에 있는 정원목록 정원의 의미 [사전적 의미] 흙, 돌, 물, 나무 등의 자연재료와 인공물 및 건축물에 의해 미적이고 기능적으로 구성된 특정한 구역을 의미합니다. 그 구성요소로는 계단, 담과 울타리, 테라스, 벤치, 잔디와 지피류, 조명, 조각, 기타 장식품이 있습니다. 정원은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과 같이 만들어진 곳입니다. 사람이 사는 곳에는 반드시 정원이 만들어졌었습니다. 처음 시작은 식용을 위한 곡식, 채소 정원에서 시작이 되었지만 점점 사람의 심리적, 정신적 안정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어지면서 지금은 건강을 위한 치유정원으로까지 설계가 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다양한 식물만 심어두는 곳이 아닌 그 자연적인 재료들을 인공적인 작품들과 같이 어우러지게 하면서 편안한 안식처과 같은 공간으로 디자인한 곳이 바로 정원입니다... 2020. 8. 30.
다양한 나무와 관엽식물을 볼 수 있는 전국 수목원 목록 국내 공립수목원 목록 [서울] 푸른수목원 : 서울 구로구 연동로 240 (02-2686-3200) [부산] 화명수목원 : 부산광역시 북구 산성로 299 (051-888-6946) [인천] 인천수목원 : 인천광역시 남동구 무네미로 236 (032-440-4900) 석모도수목원 : 인천광역시 강화 삼산 석모 (070-4174-3900) [대전] 한밭수목원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대로 169 (042-472-4972) [대구] 대구수목원 : 대구광역시 달서구 화암로 342 (053-640-4100) [경기] 물향기수목원 :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282 (031-378-1261) 황학산수목원 : 경기도 여주시 황학산수목원길 73 (031-887-2741) 무릉도원수목원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춘의동384 (03.. 2020. 8. 29.
수직으로 가는 잎이 아주 무성하게 자라는 폴리시아스(Polyscias) 키우는 방법 폴리시아스 기본적인 식물학적 내용 1) 학명 : Polyscias fruticosa 2) 과명 : 두릅나무과(Araliaceae) 3) 영명 : Ming aralia, Fern leaf aralia, Chinese aralia, Parasley aralia 4) 유통명 : 폴리시아스, 알라리아 5) 원산지 : 인도 동남아시아, 폴리네시아 등 열대지역 6) 적정온도 : 20~25도 학명에서 "poly" 는 "많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폴리시아스는 잎의 모양이 다양하게 생겼는데, 모양에 상관없이 잎이 아주 무성하게 자라는 식물이다보니 그 모양에 따라 붙여진 이름입니다. 보통 2~3m 정도 까지 자라는 식물입니다. 잎은 많으면서 수직으로 자라기때문에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원산지에서는 .. 2020. 8.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