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롱나무 기본적인 식물학적 내용
1. 과명 : Lythraceae 부처꽃과
2. 학명 : Lagerstroemia indica
3. 영명 : Crape myrtle
4. 보통명 : 백일홍나무, 간즈름나무
5. 원산지 : 중국
6. 개화기 : 7~8 월
7. 꽃말 : 부귀
목차
1. 여러가진 이름을 가진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에 꽃망울이 나오고 꽃을 틔울 준비를 합니다.
꽃이 거의 없는 7월에서부터 9월까지 붉게 물들이는 귀한 꽃나무입니다.
더운 한 여름에 꽃을 피우는 배롱나무는 중국 남부가 원산지로 고려 말 문헌인 '보한집' 과 '파한집' 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고려조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짐작되며,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이남에서 주로 자생하는 관상목입니다.
줄기의 표면에 흰 얼룩무늬가 생겨 반질반질해 보여 '파양수', '간지럼나무' 라고도 부릅니다.
한자어로는 자미화 라 하며, 개화기가 길어서 백일홍이라고도 합니다.
백일홍은 국화과 식물에도 있으므로 구별하기 위하여 목백일홍이라는 이름을 쓰기도 합니다.
실제로는 한 꽃이 백일동안 피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한 가지에 여러개의 꽃송이가 달려 있는데, 한 송이가 지면 또 다른 송이가 연속하여 피기때문에 꽃이 늘 피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입니다.
한글이름인 배롱나무는 백일홍나무가 구전되면서 소리 나는 대로 '배기롱나무'로 발음되다 시간이 지나 '기' 자가 빠져 배롱나무가 되었습니다.
배고팠던 시절 꽃이 질 때즘 벼가 익는다 해서 쌀밥나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나무 줄기가 매끄러워 원숭이가 미끄러지는 나무 '사루스베리'로 부릅니다.
2. 배롱나무의 환경적 , 외형적인 특징
배롱나무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 교목으로 높이가 5~8m 까지 자랍니다.
배롱나무는 만성형 나무라고 하여 성장에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양지바른 곳을 좋아하여 키우기 쉬운 나무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배롱나무는 주로 충청 이남에서 심는 나무였으니 온난화 영향으로 서울에서도 월동이 가능해졌습니다.
수피가 매끈한 피부미인을 보는 것과 같이 미끄러울 정도로 매끈합니다.
새로 벗겨진 자리는 색깔이 연하기 때문에 수피가 알록달록하게 보이게 됩니다.
사찰에서는 매년 한 차례 껍질을 벗어버리는 배롱나무를 보고 스님들이 속세의 때를 벗어버리고 수도에 정진하라는 의미로 심었다고 합니다.
서원에서는 선비들이 백일동안 꽃이 피는 끈기를 배우고, 깨끗하고 청렴하게 수행하라는 의미로 심었습니다.
잎은 마루나고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윤기가 있고 털이 없습니다.
꽃은 7~9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양성으로 원추화서에 달립니다.
꽃받침은 6개로 갈라지고 꽃잎도 6개로 주름이 많습니다. 수술은 30~40개이지만 가장자리의 6개가 가장 길고, 1개의 암술은 길게 밖으로 나와있습니다. 개화기가 길기때문에 정원수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로 연못가 근처에 많이 심습니다.
3. 배롱나무의 이용
배롱나무꽃은 흰색, 분홍색, 자색 등 다양하게 피고 화려하기때문에 공원이나 산책로, 가로수 등 어디에서나 친숙하게 만나볼 수 있습니다.
배롱나무의 꽃은 그늘에서 말려 차로 달여 먹고 기름에 튀겨 먹거나 국을 끓여 먹는 등 다양하게 이용되었습니다.
나무 껍질과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지혈, 해독, 천식 등에 효능이 있으며 잎에는 타닌성분을 다량 함유하려 철을 매염제한 흑갈색 계통의 색을 얻을 수 있는 염료식물로도 이용됩니다.
목재는 나뭇결이 곱고 단단하여 기구나 실내장식품을 만드는데 사용했습니다.
4. 배롱나무 명소
'부귀'를 상징하는 배롱나무는 고궁이나 사찰, 유적지, 유명 관광지 등의 양지바른 곳에 많이 심어져 있습니다. 부유하고 귀해지 라는 의미에서 꽃말이 만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선비들이 공부했던 서원이나 스님들이 거처하는 사찰 등에 배롱나무를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어 있음을 볼 수 있습니다.
1) 경상남도 산청 덕천서원
- 주소 : 경상남도 산청군 시천명 원리 225-1 (덕천서원주차장)
2) 충청남도 문헌서원
-주소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서원로 172번길 66
3) 홍성군청 여하정
-주소 :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27
4) 대구 달성 화목정
-주소 : 대구 달성군 하빈면 하산리 1043-1
5) 전남 구례 화엄사
-주소 : 전남 구례군 마산명 화엄사로 539
6) 부산 양정동 배롱나무
-주소 : 부산시 부산진구 양정동 464-1
7) 담양 명옥헌
-주소 : 전남 담양군 고서면 후산길 64 오팔라운지
8) 양산 통도사
-주소 :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곡1길 7
더위가 시작되는 소서에 피기시작하는 배롱나무
더운 여름에는 화려하게 피는 꽃나무를 많이 볼 수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배롱나무는 가장 더울때 가장 화려하게 피는 꽃으로 여름을 기다려지게 하는 꽃나무입니다. 어디에서든 잘 자라는 이 나무는 화려한 색상과 함께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어서 여름 내내 같이 보낼 수 있는 최고의 나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Floristmeisterin MoonHyunsun -
'식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을이 오는 것도 가는 것도 가장 아쉬워 하는 보라색 들꽃 쑥부쟁이 (0) | 2022.08.19 |
---|---|
욕실처럼 습도가 아주 높은 장소에서 잘 자라는 식물 Best 7 (0) | 2022.08.06 |
네덜란드에서 발표한 2023년 유망식물 트랜드 Best 10 (0) | 2022.07.24 |
치유&식용&장식 이 3가지 효과를 모두 가진 최고의 허브 Best 10 (0) | 2022.07.20 |
사랑과 행복을 상징하는 사랑스러운 연핑크색을 가진 관엽 실내식물Best 4 (0) | 2022.07.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