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새의 기본적인 식물학적 내용
1) 학명 : Equisetum hyemale L.
2) 과명 : Equisetaceae 속새과
3) 유통명 : 속새
4) 영명 : rough horsetail, snake grass, scouring rush
5) 원산지 :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북미
6) 개화기 : 4~5월
7) 꽃말 : 환호
목차
1. 속새 이름에 들어가 있는 의미
속새 라는 이름은 "속" 과 "새"의 합성어입니다.
"속" 은 거죽이나 껍질로 싸인 문체의 안쪽 부분을 의미하는 옛망리고, "새"는 풀의 옛말입니다.
속새는 속이 비어있는 대나무살처럼 보입니다. 이 줄기를 약재로 사용하였는데, 약재에서 사용된 이름에서 유래된 이름이라고 추론하고 있습니다.
줄기가 뱀 줄기처럼 보인다고 하여 뱀풀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속명인 "Equisetum" 은 그리스어의 "equus 말" 과 "saeta 꼬리" 의 합성어로 말의 꼬리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종명의 "hyemale'는 "겨울의" 이라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영명도 "horsetail" 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꽃꽂이할 때에도 주요 소재로 사용하고 있는데, 꽃꽂이용 소재로는 "속새" 라는 이름보다는 "마디초" 라는 이름으로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줄기가 마디를 표현하다고 해서 불러지게 되었습니다.
속이 비어 있기때문에 속에 철사를 넣어서 사용하기도 합니다.
수직적으로 자라는 모습이 아주 매력적으로 보이는 식물이기때문에 수직적인 화형을 만들때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2. 속새의 재배학적 특징
속새는 한국, 일본, 중국, 유럽 등 습지대에서 널리 분포하는 식물입니다.
수생식물원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식물입니다. 일반 산야에서도 속새가 그룹을 지어서 자라고 있는 모습을 종종 볼 때까 있는데, 속새가 군락을 이루며 자란 지역을 보면 그 지역에 수분이 많은 땅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여름에 아주 높은 온도에서 아주 왕성하게 자랍니다. 번식력이 아주 강하기때문에 환경조건만 맞으면 빠르게 군락을 이루면서 자랍니다.
줄기가 독특하게 생긴 습지식물 속새
독특한 줄기때문에 여러가지 이름을 가진 식물입니다. 물가에서 주로 자라기때문에 수생식물원에서 주로 볼 수가 있습니다. 실내에서도 키울 수는 있지만 온도와 환경조건이 맞추기가 어려운 식물이기때문에 실외에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식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날개처럼 날아다니는 듯한 잎모양을 가진 행잉플랜트 드라이나리아 (0) | 2022.01.08 |
---|---|
위로 수직으로 나무처럼 자라는 실버레이디고사리 (0) | 2022.01.08 |
아이들 집중력 향상을 위해 공부방에 좋은 허브 로즈마리 (0) | 2022.01.05 |
바나나 작은 잎처럼 생긴 양치식물 아스플레니움(아비스) (0) | 2022.01.03 |
거대한 잎을 가진 왕고사리 (0) | 2022.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