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정보

바나나 작은 잎처럼 생긴 양치식물 아스플레니움(아비스)

by MoonHyunSun 2022. 1. 3.
반응형

아스플레니움 기본적인 식물학적 내용

1) 학명 : Asplenium nidus

2) 과명 : Aspleniaceae 꼬리 고사리과

3) 유통명 : 아스플레니움, 아비스, 파초일엽

4) 영명 : bird's nest fern

5) 원산지 : 동부열대 아프리카(탄자니아), 온대 및 열대 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대만 등)

6) 적정온도 : 16-21도

 

 

 

목차

    1. 아스플레니움만의 독특한 특징

    아스플레니움은 동아프리카, 동아시아, 호주, 인도 등이 원산지인 양치식물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약 700여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자라는 모양이 방사형 배열로 자라는 로제트형을 가지고 있는데,  잎의 가운데 부분이 꼭 새의 둥지모양을 연상케 한다고 하여 영명으로는 "새의 둥지 고사리" 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산지의 야생에서는 착생식물로 자라기도 합니다. 이러한 특징때문에 고목나무나 벽에 걸어서 이국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하는 행잉플랜트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라는 모습이 분수형으로 자라서 조금 넓은 공간을 요구하기는 하지만 독특한 형태의 식물을 원하는 분들에게는 추천해드리고 싶은 식물입니다. 

    잎의 끝부분이 약간 물결무늬를 가지고 있어서 잎들이 움직이는 듯하게 보일 때도 있고, 바닷속에서 자라는 해초처럼 보는 분들도 계십니다. 

    구불거리는 주름진 독특한 잎의 모양때문에 관상가치가 높은 관엽식물로 인기가 높습니다. 

     

     

    2. 아스플레니움 형태학적 특징

    아스플레니움은 대표적인 관엽식물입니다.

    넓고 선적으로 길게 자라는 이 잎은 꼭 작은 바나나잎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긴 타원형으로 생긴 잎은 옅은 녹색에 광택이 나 있습니다.

    원산지에서는 보통 폭 10-20cm,  길이 50-150cm 까지 자랍니다.

    잎 뒷면에 있는 포자가 독특하게 보이고, 양치식물에서만 볼 수 있는 초자연적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간 검은빛이 돌고 있는 줄기를 가졌는데, 길이가 아주 짧거나 없기도 합니다.

    환경 적응력도 좋고, 식물 회복력도 좋아서, 고사리류 중에서는 실내에서 키우기 아주 적합한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아스플레니움 재배학적 특징

    아스플레니움을 키울 때 가장 조심해야 할 환경은 직사광과 건조 상태입니다.

    이 식물은 원산지에서 거의 많은 나무들 사이 그늘에서 살아온 식물입니다.

    거의 반그늘상태에서 자라온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간접광하에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한여름에 직사광선하에 두게 되면 잎이 쉽게 타들어가기때문에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아스플레니움은 다른 양치식물에 비해서 건조에 강한 편이기는 하지만 건강한 상태로 키우기 위해서는 물을 충분히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토양에서뿐만 아니라 공중습도도 항상 높게 유지시켜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 식물은 가습효과도 가지고 있는 식물로 추천받고 있습니다. 

    실내공간이 건조하면 이 식물은 잘 자라지를 못합니다. 그리고 이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할 정도로 건조한 환경은 사람에게도 좋은 환경이 아니라는 의미이기때문입니다. 

     

    아스플레니움이 잘 자라는 실내공간이라면 사람에게도 좋은 환경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을만큼 여러모로 아주 이로운 식물입니다. 

     

     

    새집증후군 개선과 가습효과 까지 가지고 있는 아스플레니움

    이 식물이 잘 자라기에 좋은 적정온도는 16~21도 정도입니다. 그리고 이 식물은 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 이러한 온도에 건조하지 않은 환경은 사람에게도 아주 좋은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식물은 새집증후군 개선에 아주 효과적인 능력을 가지고 있다라는 연구결과를 가지고 있는 식물입니다. 실내에서 키우게 된다면 우리에게는 아주 이로운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