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은 눈의 수잔 식물학적 내용
1. 학명 : Thunbergia alata
2. 과명 : Actindiaceae 쥐꼬리망초과
3. 유통명 : 검은눈의 수잔, 아프리카 나팔꽃, 툰베르기아
4. 영명 : Black eyed susan
5. 원산지 : 동아프리카 등 열매 아열대지역
6. 개화기 : 5~9월
7. 적정온도 : 18-29도
목차
1. 검은 눈의 수잔 의 독특한 매력
검은눈의 수잔덩굴이라고 부르는 이 식물은 쥐꼬리망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성 식물입니다. 동아프리카가 원산지인만큼 주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잘 자라는 식물인데, 워낙 성장력이 좋아서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분포된 식물입니다.
원산지에서는 다년생으로 재배되고 있지만, 온대지역에서는 부분적으로 일년생으로 자라게 됩니다.
추운 곳에서 월동을 잘 하지 못하기때문에 1년내내 따뜻한 실내공간에서 키우면 다년생으로 볼 수 있는데, 실외에서 키우게 되면 겨울을 넘기지 못하기때문에 다음해에 거의 피지 못합니다. 그렇기때문에 온대지역에서는 실내에서 1년내내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조건만 맞으면 거의 1녀내내 꽃과 같이 보낼 수 있습니다.
"수잔" 이라는 이름은 서양의 전통 발라드에 등장하는 여주인공의 이름을 그대로 묘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여주인공의 케릭터를 표현한 이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꽃이 피어있는 곳을 지나가다보면 저 꽃들이 모두 "나" 를 바라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아주 강렬한 검은 눈을 가지 식물입니다. 중앙에 있는 어두운 점이 너무나 강렬하게 보이고, 검정색 주변으로 형광적인 주황색이 있기때문에 그 색의 대조가 아주 강해서 더욱더 독특하게 보여지는 꽃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색은 주황색이고, 그 이외에도 노랑색, 아이보리색, 흰색등이 있습니다.
2. 검은 눈의 수잔 이용방법
[1] 공중식물로 사용
이 식물은 대표적인 덩굴성 식물입니다. 그렇기때문에 공중에 걸 수 있는 화분에 심어서 키워도 아주 화려하게 자라는 모습을 보게 되는 식물입니다.
[2]벽면조경식물로 사용
벽면을 완전히 덮을 정도로 아주 성장력이 좋은 식물입니다. 아주 길게 자라면 약 5m 이상까지도 자라기 때문에 벽면조경식물로도 손색이 없는 식물입니다. 오렌지색을 가진 꽃을 제일 많이 볼 수 있는데, 흰색, 아이보리색, 노랑색 꽃과 같이 혼합해서 심어두면 더욱더 화려하게 보여지게 됩니다.
[3] 프레임구조물 식물로 사용뭔가를 타고 올라가면서 자라는 식물은 아주 다양하게 디자인을 할 수 있어서 인기가 아주 좋습니다. 어떤 구조물을 제작을 해서 구조물 라인으로 식물이 자라게 유도를 하면 아주 멋진 조형물을 탄생시킬 수 있는 식물입니다. 또는 지상을 덮는 식물로도 사용할 수 있어서 휴식공간에 그늘을 만들어주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3. 검은눈의 수잔 재배학적 특징
원산지가 열대지역이다보니 햇볕을 많이 좋아하는 식물입니다.
실내에서 키울 때에는 미니온실이나 베란다에 두고 키우게 되는데,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에 두고 키우면 항상 피어있는 꽃을 볼 수 있습니다.
햇볕이 조금 부족한 상태가 되면 꽃의 크기도 작아지고, 꽃봉오리도 줄어들기때문에 가능한한 충분한 광을 받을 수 있는 곳에 두고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좋아하는 식물이기때문에 충분히 물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과습상태에서는 식물의 상태가 나뻐질 수 있기때문에 이 부분은 항상 주의를 해야 합니다.
비옥한 토양을 좋아하고, 배수처리가 잘 되는 곳에서 키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화려한 주황색과 강렬한 검은 눈을 가진 검은눈의 수잔
열대,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인 이 식물은 성장속도가 아주 빠른 덩굴성 식물입니다. 공중식물뿐만 아니라 벽면조경에도 아주 인기가 많은 꽃입니다. 실내에서도 환경조건만 잘 맞으면 1년내내 볼 수 있는 아주 매력적인 식물입니다. 햇볕을 충분히 받을 수 있고, 따뜻한 곳에서 키우게 되면 다년생으로 항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식물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한 잎을 가진 왕고사리 (0) | 2022.01.02 |
---|---|
다양한 색의 잎을 가진 행잉플랜트 오색마삭줄 (0) | 2022.01.02 |
행잉플랜트로 최고의 아름다움을 가진 다육식물 5 가지 (0) | 2021.12.29 |
강렬한 붉은색 잎을 가진 실내관엽식물 5종류 (0) | 2021.12.27 |
밤에 피는 꽃 야래향 (0) | 2021.12.13 |
댓글